제목 | 영어영문학과 이한정 교수, 한국어의 언어 사용 효율성 규명 | ||||
---|---|---|---|---|---|
작성자 | 관리자 | 작성일 | 2024-09-02 15:47:25 | 조회수 | 335 |
영어영문학과 이한정 교수, 한국어의 언어 사용 효율성 규명
- 세계적 권위 학술지 「Language」에 첫 한국인 단독 연구 게재 - 한국어 회화 데이터 분석을 통해 인간 의사소통의 정교한 원칙 밝혀
▲ 성균관대학교 영어영문학과 이한정 교수
영어영문학과 이한정 교수가 언어학 이론 분야에서 가장 권위 있는 국제 학술지인 ‘Language’에 연구 논문을 게재한다. 이 논문은 9월 출판 예정으로 한국인 언어학자가 이 학술지에 단독 저자로 논문(소논문 및 리뷰 논문 제외)을 게재하는 것은 처음이다. 미국언어학회에서 발행하는 ‘Language’는 올해로 창간 100주년을 맞이한 학술지로 이번 성과의 의미가 더욱 크다는 평가를 받고있다.
이한정 교수의 논문 “단서의 신뢰도, 의사소통의 효율성, 그리고 차등 주어 표지: 한국어 사례 연구”는 언어 사용에서의 의사소통 효율성 원칙을 심층적으로 탐구한 연구이다. 이 연구는 한국어 화자들이 비격식 대화에서 문맥의 단서 신뢰도에 따라 명사구의 복잡성을 어떻게 조정하는지를 분석하여 언어 생산의 인지적 비용과 의사소통 효과 간의 균형을 최적화하는 방법을 규명했다.
이 교수는 이번 연구에서 한국어 회화 데이터를 정밀하게 분석하여 언어적 요소와 비언어적 요소가 주어 명사구의 복잡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이한정 교수는 한국어의 독특한 언어 구조와 사용 방식의 기저에서 보이지 않은 손과 같이 작동하는 보편적 원리에 대한 새로운 통찰을 제공하고자 했다.
이한정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한국어의 독특한 언어적 특징을 보다 심층적으로 이해할 수 있었다”며 “언어 사용에서의 효율성 원칙을 밝힘으로써 인간의 의사소통 방식이 얼마나 정교하게 설계되었는지를 보여주고자 했다”고 전했다.
한편, 이한정 교수는 영어영문학과의 김나연 교수와 학부 및 대학원생들이 참여하는 ‘언어인지 랩’을 운영하며 언어 구조, 의미 및 인지에 관한 국제적인 연구 성과를 지속적으로 창출하고 있다. 또한, 현재 인공지능혁신융합대학사업의 지원을 받아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영어 연구와 교수학습법 개발에도 주력하고 있다.
이한정 교수의 이번 연구 성과는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다.
※ 논문명: Cue reliability, communicative efficiency, and differential subject marking: Evidence from Korean ※ 학술지(발행처): Language(미국언어학회) ※ 논문 링크: https://doi.org/10.1353/lan.0.a936037 ※ 게재: 온라인 2024. 8. 16. / 인쇄본 2024. 9. 1. 예정 |
다음글 | 권석범 교수, ‘정부의 연구지원, 특허에서 명시 누락…과학 기술 혁신 기여도 과소평가’ 밝혀 |
---|---|
이전글 | 삼성융합의과학원, 2024년 바이오·의료기술개발 사업 선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