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384 억원
연구비
-
5597 편
국제논문
-
32 억원
기술이전
-
415 건
특허등록보유(국내)
-
113 건
특허등록보유(해외)
*2020년 기준
-
5384 억원
연구비
-
5597 편
국제논문
-
32 억원
기술이전
-
415 건
특허등록보유(국내)
-
113 건
특허등록보유(해외)
*2020년 기준
5384 억원
연구비
5597 편
국제논문
32 억원
기술이전
415 건
특허등록보유(국내)
113 건
특허등록보유(해외)
*2020년 기준
5384 억원
연구비
5597 편
국제논문
32 억원
기술이전
415 건
특허등록보유(국내)
113 건
특허등록보유(해외)
*2020년 기준
바이오메카트로닉스학과 박진성 교수 박진성 교수 연구팀이 세계 최초로 자가 조립 파라페닐렌디아민* 나노입자(Self Assembled p-Phenylenediamine nanoparticle, SAp-PD)를 이용하여 테프론 코팅된 프라이팬 조리 시 발생하는 과불화옥탄산(Perfluorooctanoic acid, PFOA)의 초고민감도 검출에 성공하였다. 바이오메카트로닉스학과 박진성 교수 연구팀은 이 같은 내용을 환경 과학 분야 Top 3% 국제학술지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에 4월 6일자로 출간하였다.
2023-05-17
신소재공학부 이내응 교수 신소재공학과 이내응 교수 연구실에서는 촉각, 청각, 시각, 미각, 후각 등 인간의 감각기관의 기본 기능을 모사할 수 있는 인공감각시스템을 개발해왔다. 인간의 감각 신경계를 모방하고 에너지 효율적이고 지능적인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인공감각시스템은 미래 로봇, 자동차를 비롯한 다양한 자율 시스템의 인공지능 기술에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놀랍게도 인체는 고도로 정교하여 모든 감각 정보를 상위 뇌 중추로 전송하기 전에 기관 수준에서 사전 처리할 수 있다. 인공 화학 감각 신경 시냅스에 대한 연구실의 최근 연구는 인간 후각 시스템의 뉴런과 시냅스의 흥분성 및 억제성 시냅스 기능에서 영감을 받아 "Nature Communications"에 게재되었다.
2023-05-02
화학과 이진용 교수 .임종현 박사 화학과 이진용 교수 연구팀(공동 제1저자 임종현 박사)는 박성남(고려대학교), 김도경(경희대학교), 김종승(고려대학교), 홍창섭(고려대학교)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과 공동연구를 통해 광역학치료요법(PDT)에 사용될 수 있는 새로운 유기 다공성 광감응제(PS)인 KUP-1 시스템을 개발했다. 해당 연구는 “Wavelength engineearable porous organic polymer photosensitizers with protonation triggered ROS generation” 라는 제목으로 2023년 3월에 Nature Communications (IF: 17.694)에 온라인 게재되었다.
2023-04-17